설명하기 전에
https://youtu.be/MSbIKp571Rk
보면 갈라지는 경계선이 보입니다
즉 ㅎ의 2차 궤적 훌라후프 소용돌이가
중미 카리브해에 떨어진 운석과
남미와 남극 대륙 사이에 떨어진 운석에
위와 같이 화실표 방향으로 딸려 들어가 두 개의
원형을 이룹니다
구글어스로는 열곡을 분간하기 어려워
검색을 해 보니까 열곡이 잘 보여 첨부했습니다
더 멀리서 보면
위와 같이 ㅎ의 2차 훌라후프 소용돌이가
보이지만 더 위로 올라갔다고
분석하기에는 해상도나 바닷속 지형 구분이 안 되어
반만 그렸었습니다
(캘리포니아 샌 안드레아스 단층)
열곡이 캘리포니아를 거쳐 거의
알래스카까지 다다릅니다
하지만 반대편 호주 위쪽으로는 더 위로 갈라지는
흔적이 안 보입니다
아니 흔적은 보이는데 캘리포니아와 같이 육지로
갈라진 경우 샌 안드레아스 단층처럼 안 나타나죠
캘리포니아 샌 안드레아스 단층입니다
그러면 반대쪽 호주도 땅이 갈라지는 단층이
있어야죠! 둥근 원 즉 ㅎ의 2차 소용돌이 훌라후프에
호주대륙에 있기 때문에요
?가 즉 2차 훌라후프 소용돌이가 사라졌습니다
갈라지다가 없어졌습니다!
왜 캘리포니아 샌 안드레아스 단층처럼 있어야 할 게
없을까요? 아니 왜 흔적만 있고 더는 안
갈라지죠?
이미 그동안 봐왔던 회원은
돌고래가 소용돌이를 맘대로 모양을 바꾸듯이
또 인도양 행성 급 운석(ㅍ)에 소용돌이가
바뀌었다는 걸 짐작할 수 있겠죠?
또 호주가 북상해서 그럴 수도 있다고 본다면
ㅎ의 2차 소용돌이가 ㅍ에 밀려 사라진 겁니다!
그러면 어디로 가야 됩니다
계속해서 소용돌이가 발견되어야 하죠!
위 사진은 소용돌이가 갈라지는 방향이
ㅎ이 뚫고 들어가 반대편으로 흔적을 남긴 곳으로
이차 훌라후프 소용돌이의 변환 단층 방향이
흔적 방향으로 가야 하는 데
오스트레일리아 쪽으로 방향을 이룹니다
ㅍ에 의해 끌려간 것이죠!
끌려가다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곳
즉 사라진 2차 훌라후프 소용돌이
가 위상이 반전되어 소용돌이가
위와 같이 피지섬 소용돌이 모양이 됐다고 봅니다
저기엔 ㅎ의 충격 파형과 2차 훌라후프 소용돌이
또 ㅍ의 일차 소용돌이 일 번, 이 번
또 혜성 급 운석공 등의
작용으로 복잡하게 보입니다
즉 파형은 오스트레일리아 해안선 영향이고
피지섬 소용돌이는 ㅎ의 이 차 소용돌이가 밖으로
나온 것으로 설명이 됩니다
그 과정에서 흔적이 질랜디아라고 봅니다
질랜디아 위쪽 작은 혜성 급 운석이 떨어진 흔적이
보입니다
질랜디아 흔적이 남은 건 소용돌이 과정에서 한 바퀴
돌아서 남는 거라 보고
두 바퀴 돌아 질랜디아 위 흔적이 남는다고 봅니다
이상 질랜디아 설명입니다
'운석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하와이 열도 설명 (0) | 2018.06.12 |
---|---|
[스크랩] 태평양 `수중 신대륙` 질랜디아, 해수면 가까이 있었다, 설명 2부작 중 1부 (0) | 2018.06.07 |
[스크랩] Re:바다에 떨어진 혜성 급 운석공 (0) | 2018.06.07 |
[스크랩] 오스트레일리아가 북상했다! 설명 예정 (0) | 2018.05.28 |
[스크랩] 오스트레일리아 북상한다! 2부작 중 2부 설명 (0) | 201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