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아프리카 모양 설명
지난번에 운석이 지구에 떨어지면 대략
크기가 1~100m
사이의 크기는 대기가 방어한다고 했습니다
100~10,000m는 지구 껍질 즉 지각에 충돌
땅에 커다란 운석공을 만들고 전 지구적 재앙이
일어난다고 봅니다
공룡 멸종이 대략 8,000m~10,000m 크기의
운석이 멕시코 유카탄반도에 떨어져 그렇다고 하죠!
그렇다면 10,000m 이상의 크기 운석은
지구 껍질을 뚫고 마그마가 있는 땅속 깊이
들어간다고 봅니다!
운석이 떨어질 때, 크기나 속도 운석의 종류 각도 등
여러 변수가 있지만
대략적으로 그렇다는 겁니다
크기가 크면 에너지 또한 막대해서 지구 표면이 충돌
에너지 흡수를 못 한다고 봅니다
지구는 얇은 껍데기를 벗기면 액체 즉 마그마가
요동치는 액체죠!
그러니까 크기가 큰 운석은 출렁이는 물에 떨어지는
것과 같다는 겁니다
https://youtu.be/909o_kbCdFg
물 표면을 접시로 깊게 파면 위 동영상같이
소용돌이가 발생합니다
저 움직이는 손에 잡고 있는 접시의 크기가
한반도만 한 크기로 생각하면
운석의 속도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그러니까 크기가 크면 퓨우웅 이나 슝~ 이
아니고 풍우우우웅덩 하며 충돌하는 것이죠
지각 껍데기는 오히려 윤활 작용을 한다고 봅니다
충격에 녹아, 액체 상태의 용암과 직접적인 충돌을
완화해서 가볍게 미끄러지듯 용암 속으로 운석이
들어가게 하는 거죠!
https://youtu.be/wuVgXJ55G6Y
위 돌고래 영상에서 물방울 소용돌이를 만드는데요,
큰 소용돌이를 잘라 작은 소용돌이를 만들고
또는 소용돌이를 꼬기도 합니다
물은 표면 장력이 있어서 끊으면 바로 소용돌이 원형
훌라후프가 사라지지만 위에 접시 소용돌이는
공기 방울이 아니라 오랫동안 소용돌이를 유지하죠!
뭐냐면 지구에 충돌한 거대 운석공에 훌라후프
소용돌이가 오랫동안 유지한다는 겁니다
훌라후프 소용돌이가 잘려도 그렇다는 겁니다
자 그러면
위 아프리카에 떨어진 거대 운석에 일차 궤적
소용돌이가 발생한다고 보면
아프리카 모양이 판게아에서 분리될 때
원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비스듬히 떨어졌다고 보면 타원형의 원으로
분리되어 타원 아프라카가 돠어야 하죠!
위와 같이 타원형의 아프리카가 되어야
하죠!
하지만 분리 과정에서
인도양 즉 아프리카 남남동쪽에 거대 운석이 또
떨어집니다
그래서 인도 대륙이 북상하며 아프리카에서
분리됩니다
즉 아프라카 동쪽 해안선을 파먹은 거죠!
결과 아프리카 동쪽 해안선은 불규칙 하다고
봅니다
어렵게 설명이 되었네요
그러면 충돌에 의해 생겨난 소용돌이 즉 갈라지는
해저산맥의 패턴을 보면 쉽다고 봅니다
즉 위 그림에서 해저 산맥이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 행성 급 운석(ㅎ으로줄임)
에 의해 발생한 일차 궤적 훌라후프 소용돌이가
타원형이 되어야 하는데 매우 불규칙한 모습입나다
앞서서 돌고래가 훌라후프 소용돌이를 맘대로 조정
모양을 바꾸죠!?
결국 타원이 아닌 것은
돌고래가 모양을 바꾸듯이 다른 행성 급 운석이나
혜성 급 운석이 타원형 훌라후프 일차 궤적
소용돌이에 영향을 미쳐 바꿨다고 봅니다
위 일차 훌라후프 소용돌이 부분은 인도양 행성 급
운석의 영향으로 갈라지는 소용돌이가 짤리고 위로
올라갔다고 봅니다
위 아프리카 서쪽이 유난히 큰 땅은
소용돌이가 중미 카리브해에 떨어진 혜성 급 운석에
딸려서 훌라후프 소용돌이가 늘어나 저런 모양이
되었다고 봅니다
남미에 떨어진 좀 작은 혜성 급 운석에 작게
훌라후프 소용돌이가 밀려 들어갔네요
즉 돌고래가 훌라후프 소용돌이를 맘대로 모양을
만들듯이
거대 운석 또한 초거대 운석의 일차 훌라후프
소용돌이를 바꿔 현재의
아프리카 울퉁불퉁 모양을 만들었다고 봅니다
이상 아프리카 모양 설명입니다
🤔😎